I. 네트워크 기초 - (매년 출제)
*[L1]물리계층(Physical Layer)
-최하위 계층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해 주는 전송 매체
-비트 스트림을 보내고 받기 위해서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징을 다루어 물리적으로 액세스
-허브, 중계기(Repeater), 집중화기, UTP(Unshielded Twist Pair), 동축케이블
*[L2]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물리 계층의 비트들을 프레임으로 구성
-(Node-to-Node) 시스템 간의 전송로상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여 데이터의 흐름 제어, 전송 보장
-데이터 흐름에 있어 필요한 사항
1.프레이밍(Framing): 프레임의 시작 및 끝을 부가하여 프레임을 구성
2.오류 제어: 전송 오류를 검출하여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의 재전송을 요구
3.시간 제한 및 확인: 전해진 시간 내에 확인 메세지가 안오면 해당 프레임을 재전송
4.흐름 제어: 송신측의 프레임 전송 속도가 수신측의 프레임 처리 속도보다 빠를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흐름 제어
*[L3]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경로 선택 및 라우팅 기능 수행
-ARP, ICMP 프로토콜 포함
-네트워크 계층 서비스 종류
1. 연결형 서비스(Connection Oriented Service)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전에 연결을 설정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사전에 연결 설정을 위한 작업이 필요(Dialing, Signaling)
2. 비연결형 서비스(Connectionless Service)
연결 설정 작업없이 바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로, 예로는 인터넷이 있는데, 패킷(Packet)과 데이터그램(Datagram)이 든 데이터를 라우팅(Routing)
*[L4]전송 계층(Transport Layer)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포함
-서비스 품질에 따라 등급 0부터 4까지의 5가지 서비스 등급을 제공
1. Class 0: 최소 기능의 간단한 프로토콜
2. Class 1: 장해에 의한 재설정 또는 통신망 연결의 절단이 생겨도 자동적으로 재설정하여 통신유지
3. Class 2: 한 통신망 연결을 공유하기 위해 다수의 전송 연결을 허용(다중화 기능)
4. Class 3: Class 1의 기능에 다중화 기능을 추가
5. Class 4: 데이터 분실, 분실된 비트 오류, 장해 등을 검출하여 회복할 수 있고, 다중화 기능 포함
*[L5]세션 계층(Session Layer)
*[L6]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데이터 암호화 해독을 수행하고, 효율적 전송을 위해 압축과 압축해제를 수행
*[L7]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분산 정보 서비스를 제공
-전자 메일, 파일 전송,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 원격로그인과 같은 실제의 응용 기능 제공
-사용자에게 OSI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접점
1) 케이블: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구체적으로 데이터가 지나가는 길로 가장 기초적인 장비 중의 하나이다.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일반적으로 LAN선이라고 부르며, 여러 쌍의 구리선을 하나로 묶고, 이들을 서로 꼬아주어 인접 도체간의 혼선을 줄이고 절연을 유지하도록 하는 회선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의 전송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음성 통신회선과 건물 안의 통신회선에 주로 사용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편하지만, 다른 전기적 신호의 간섭과 잡음에 민감하며, 데이터 전송과정 에러율이 높아 고속도 전송에는 제한된 거리에서 사용
-TIA/EIA 568(A|B)
핀 번호 |
T568A 색 - 1995년 표준 (시험 안나왔음) |
T568B 색 - 2002년 표준 (시험 때때로 나왔음) |
1 |
녹색/흰색 혼합선 |
주황색/흰색 혼합선 |
2 |
녹색 |
주황색 |
3 |
주황색/흰색 혼합선 |
녹색/흰색 혼합선 |
4 |
파란색 |
파란색 |
5 |
파란색/흰색 혼합선 |
파란색/흰색 혼합선 |
6 |
주황색 |
녹색 |
7 | 갈색/흰색 혼합선 | 갈색/흰색 혼합선 |
8 | 갈색 | 갈색 |
홀수 번호 흰색 혼합선, A와 B차이 (녹색 주황색 서로 바뀜) |
※T568B 이미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하나 이상의 광섬유들을 포함하고, 기본적으로 중심부에 가느다란 유리(굴절률↑유리)로 된 코어와 이것을 둘러싼 클래딩(굴절률↓유리)으로 구성
-중심부에 위치한 코어의 지름은 1mm의 천분의 일
-광섬유의 한쪽 끝 속으로 레이저광을 보내면 코어와 클래딩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를 계속하면서 빛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못하고 진행
-장거리에서도 고속 데이터 전송가능, 트위스트 페어의 간편성과 동축 케이블이 가진 넓은 대역폭의 특성을 가짐
-인터넷의 백본(Backbone)을 연결하는 통신선으로 많이 사용
2) NIC(Network Interface Card): 케이블로 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받거나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케이블로 전송시키는 장치로서 해당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보통 랜카드라고도 한다.
*종류: 이더넷(Ethernet) NIC, Wireless NIC, Frame-Relay, ATM, HDLC, X.25, Modem, Cable Modem [속도: 일반적으로 10/100/1000 Mbps]
3) 허브: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노드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모든 케이블이 연결되어 물려있는 여러 노드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스타 포톨리지를 구성하며, 케이블이 집중되는 곳이다.
*더미 허브
-일반적인 허브로,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PC의 대수만큼 나누어서 제공한다는 것이 약점
-연결된 컴퓨터의 대수가 많아질수록 충돌 확률이 높아져 효율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단점
*스위칭 허브
-랜의 전송속도와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유한 의미의 허브에 스위칭 개념을 도입
-더미 허브와 비교하여 전용 매체 교환 기술을 이용해 트래픽 병목 현상을 제거해 각 포트당 속도가 일정하게 보장
-해당 데이터의 목적지 노드로만 직접 연결해줘, 연결된 모든 노드들은 1:1 통신이 보장되며, 각 노드당 최대 네트워크 속도를 보장함
*스태커블 허브(Stackable Hub)
-한 개의 허브에 제한되어 있는 포트 수를 늘릴려면 여러 개의 허브를 연결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여러대를 묶어서 하나의 허브처럼 확장시키는 허브
-전용 Stack 포트가 존재하여 이를 통하여 확장 할 수 있으며, 더미 허브 여러대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속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음
*듀얼 스피드 허브(Dual-Speed Hub)
-Ethernet의 종류인 10Base와 100Base를 함께 사용 할 수 잇도록 고안된 허브
*매니지먼트 허브(Management Hub)
-네트워크 관리 기능이 추가된 허브로서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데 용이하게 이용됨
4) 라우터(Router): LAN을 연결시켜 주는 망 연동장치로서 내부와 외부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인터넷 접속 시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서 송수신 데이터들의 경로를 설정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IP계층이 탑재되고, 여러 프로토콜과 응용 프로그램들이 내장되어 있다.
*장점: 통신 환경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관리 방침에 따라 라우팅 방식을 결정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대규모 통신망을 쉽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경로를 따라 통신량(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음
*단점: 초기 환경설정이 어렵고, 특정한 프로토콜에 의존하므로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이 어려우며, 하위 프로토콜 지원이 불가능하고, 기능이 복잡해 가격이 비쌈
5) 브리지(Bridge):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상호 접속해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로서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리피터(Repeater)와 비교
-두 개의 LAN을 연결한다는 점에서 리피터(Repeater)와 같을 수도 있지만, 리피터가 모든 신호를 한꺼번에 보내서 통신량을 증가시켜 브리지는 통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통신하고자 하는 노드가 같은 통신망 안에 있을 경우는 데이터가 다른 통신망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리피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지만,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위치가 다르다.
*특징
-통신망의 범위와 길이의 확장, 통신망에 더묵 많은 컴퓨터들을 연결, 병목현상 감소, 서로 다른 물리매체로 구성된 통신망 연결 등에 사용한다.
-로컬(Local)브리지와 원격(Remote)브리지로 구분하는데, 로컬브리지는 동일 지역 내에서 다수의 LAN을 연결할 때 사용하고, 원격브리지는 LAN과 광역 통신망(WAN)을 연결하는 것으로 지역이 다르고 멀리 떨어져 있는 LAN을 연결하는 것이다. 현재에는 라우터가 원격브리지의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6) 게이트웨이(Gateway):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들어, IBM의 전용망인 SNA와 ISO의 표준인 OSI는 구조가 다르므로 곧바로 연결할수가 없는데, 이럴때 중간에 삽입되어 연결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통신 코드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등의 처리를 하는 컴퓨터는 게이트웨이 프로세서로 일컫는다.
7) 리피터(Repeater): 디지털 방식의 통신 선로에서 전송 신호를 재생하여 전달하는 전자 통신 장치이다. 디지털 신호는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나아가면 출력이 감쇠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장거리 전송을 위해서는 이를 새롭게 재생시키거나 출력 전압을 높여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리피터가 바로 전송 신호의 재생 중계 장치이다.
*특징
-비트 리피터(Bit Repeater)와 축적형 리피터(Buffered Repeater)로 나뉜다.
-비트 리피터: 세그먼트(LAN단위)로부터 비트를 받아서 아무런 처리도 하지않고 단순히 신호를 전기적으로 재생하여 다음 세그먼트로 넘기는데, 이때 양쪽 세그먼트의 속도는 같아야하며, 신호를 받아서 그대로 전달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오류를 대처할 방법이 없다.
-축적형 리피터: 비트 리피터의 기술을 확장한 것으로, 메모리 버퍼를 가지고 있으므로 속도가 서로 다른 LAN을 결합할 수 있고, 패킷 분석을 하지 않으므로 속도가 빠르고 경제적인 LAN을 구성할 수 있다.
Ethernet/LAN의 기본 이해
토폴로지 종류 |
설명 |
스타형 |
중앙의 제어점으로부터 모든 기기가 지점간(Point-to-Point)방식으로 연결된 형태이며, 중앙 노드가 작동 불능 시 네트워크는 작동하지 않는다. |
버스형 |
하나의 회선에 여러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회선의 종단에는 터미네이터가 부착되어 있는 형태 |
링형 |
모든 노드들이 폐쇄된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형태 |
트리형 |
여러 개의 허브를 사용하여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게 하는 네트워크 구조 |
1) Ethernet
*Ethernet특징
-논리 버스 토폴리지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한 노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노드에서 이미 해당 회선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보내는 방식으로 통신한다.
-회선의 길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노드간 충돌이 통신중에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는 단점을 가졌다. (즉, 한노드가 데이터를 송신중에 동시에 다른 노드가 데이터를 송신하게 될 경우 이 전송을 무효처리되며 이를 충돌이라 한다.)
-노드간 충돌 시 데이터를 다시 보내야 할지 결정하는 방식을 바이너리 승수 백오프(Truncated Binary Exponential Backoff)라고 부른다.(1과 2사이의 수를 무작위로 발생 시켜 이를 이등분한 수의 밀리초만큼 대기하게 된다.)
-속도, 대역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거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2) 근거리 통신망(LAN): 특정한 건물 내부나 특정한 지역 내(1Km이내)에서 중소 규모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표준 LAN으로는 이더넷과 FDDI를 들 수 있는데, LAN의 전송 매체로는 이중 나선(Twisted-pair Wire), 동축 케이블, 광섬유 등이 사용된다.
*특징
-지역적 범위가 1km 또는 수km 이내
-데이터 전송 속도는 10Mbps 이상이며, 고속 LAN은 최대 100M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오류가 낮으며 안정성이 높다.
-각종 기기등과 프로그램/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며, 원할한 의사소통으로 정보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있다.
3)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미국 표준 기구(ANSI)의 네트워크 규격으로, 두 개의 링이 "토큰 패싱"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랜이다. 전송매체로 광섬유나 이중 나선을 사용하며, 100Mbps의 속도를 나타내고, 다른 부속 네트워크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간망(Backbone Network)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등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4) 토큰 링(Token Ring): IBM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4~16Mbps의 속도를 보장하는 고속 데이터망이다. 채널 사용권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해 사용권을 의미하는 토큰을 차례로 전달해 나가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방식의 랜은 노드가 늘어나더라도 속도 저하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5)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대도시 네트워크라고 부르며, 대도시같이 넓은 지역에 데이터, 음성, 영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100개 내외의 지역을 엮는 중형 통신망으로 기업, 기관 등의 LAN을 하나로 묶어 놓은 형태로 운영된다. 기능상 WAN보다 뛰어나고 범위상 LAN보다 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6)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이라고 부르며, 하나의 도시 등 매우 넓은 네트워크 범위를 갖는다. 근거리 통신망이 여러개 모여서 상호간에 고속 전송이 가능한 전용 회선으로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각 노드 간의 연결은 지점 간 접속(Point-to-Point)방식을 사용한다.
7) VAN(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 통신망): 통신 회선을 직접 보유하거나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회선을 임차또는 이용하여 정보의 축적, 가공, 변환, 처리 등을 데이터에 높은 부가 가치를 부여하여 제공하는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서비스의 집합을 의미한다. 주로 공중 통신망으로 접속한다.
8)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정보 통신망): 디지털 통신을 근간으로 하여 음성 및 비음성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정보 활용 효과성 및 편리성,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정보 통신망이다. 단순한 전화 서비스 외에 고속 데이터 통신 서비스, 텍스트 서비스, 화상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특징
-물리적 네트워크 하드웨어에 대해 독립적이므로 이더넷, 토큰링, 전화선 및 다른 종류의 물리적 전송 매체에서도 실행 가능하다.
-공통의 주소체계를 사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거대한 네트워크에서도 TCP/IP장치를 찾아낼 수 있게 해준다.
-네트워크상 모든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IP Address라는 고유한 주소를 가진다.
*구조: 각 계층별 프로토콜들은 각각 보내려는 데이터에 헤더를 붙여서 캡슐화를 하며, 이를 하부 계층으로 넘기게 되며 다른 곳에서 보낸 데이터를 받을 경우는 해당 헤더를 제거한 후 상위 계층으로 넘기는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7 |
어플리케이션 계층 |
Telnet, FTP, SMTP, SNMP, NIS, NFS, DNS |
|
6 |
프리젠테이션 계층 |
||
5 |
세션 계층 |
NETBIOS |
|
4 |
트랜스포트 계층 |
TCP |
UDP |
3 |
네트워크 계층 |
IP, ARP, RARP, ICMP |
|
2 |
데이터 링크 계층 |
제외(하드웨어 인터페이스) |
|
1 |
물리 계층 |
*Network Address 계층의 서비스: 한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해 물리적인 주소가 필요한데, 이더넷에서는 48비트 MAC주소를 사용하고, 프레임 릴레이에선 DLCI주소를 사용한다. 이 계층에선 상위 계층의 IP Datagram을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Frame으로 만드는 작업과 IP 주소를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물리적 주소로 대응시키는 작업을 담당한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제어, 에러 보고 및 TCP/IP에 필요한 정보 기능을 위한 메세지들을 보낸다.
*IP(Internet Protocol):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발송한 데이터, 즉 데이터그램이 정확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황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찾아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표기: 총 32비트 구성되어 있으며, 약 40억개의 이르는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는 주소이다. 4바이트의 IP주소의 각 바이트를 10진수로 계산하고, 4개의 10진수를 '.'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구성: 네트워크자리 & 호스트자리
IP 주소: 32bit |
|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 |
호스트 식별자(Host ID) |
N bit |
32 - N bit |
범위: 0.0.0.0 ~ 255.255.255.255 |
-범위
구분 |
IP범위 |
네트워크 식별자 |
호스트 식별자 |
A Class |
0.0.0.0 ~ 127.255.255.255 |
8bit |
24bit |
B Class |
128.0.0.0 ~ 191.255.255.255 |
16bit |
16bit |
C Class |
192.0.0.0 ~ 233.255.255.255 |
24bit |
8bit |
D Class |
224.0.0.0 ~ 239.255.255.255 |
멀티캐스팅을 위해 사용되는 특별 주소 |
|
E Class |
240.0.0.0 ~ 255.255.255.255 |
예비 주소로 남겨둔 주소 |
-예약된 IP Address
예약 IP |
설명 |
예시 |
Net ID 부분 |
앞 부분 비트(Prefix bit)를 제외한 Net ID 부분의 비트 값이 모두 0으로 되어 있거나, 모두 1로 되어있는 것은 이용하지 않는다 |
|
Host ID 부분 |
Host ID 부분의 모든 비트값이 0이거나 1인것은 이용하지 않는다. 모두 0인것: Host Number로 이용 / 모두 1인것: 브로드캐스트로 이용 |
203.100.100.0 [호스트 넘버] 203.100.100.255 [브로드 캐스트] |
주소 0.0.0.0 |
IP 주소가 모두 '0'이면, BOOTP 서버에 초기 요청을 보낼 때 자체의 IP주소를 모르는 경우 사용하는데, 즉 호스트가 자체의 IP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된다. 또 기본라우터를 뜻한다. |
|
호스트 지정 주소 (NetID 필드 = "0") |
네트워크 필드가 모두'0'이고 호스트 필드에만 값이 지정되어 있는 IP주소는 해당네트워크에서 특정 호스트를 지정하는 주소이다. |
192.18.178.0에서 목적지 IP 주소가 0.0.0.123으로 지정된 데이터는 198.18.178.123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서만 수신된다. |
루프백 주소(127.x.x.x) | 호스트 자체에서 사용하는 루프 백 주소로 호스트 내부의 프로그램간 통신이나 호스트 자신의 주소를 나타낼때 사용한다. | 대부분의 루프백 주소 127.0.0.1 |
멀티캐스트 주소 | 클래스D의 주소로 첫숫자가 224에서 239인 IP주소는 멀티캐스트로 예약되어 있다. 이는 멀티미디어 통신이나, 라우팅 프로토콜의 전송 등의 특수 목적을 위해 할당한다. |
|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Network Address를 '1'로, Host Address를 '0'으로 표기함으로써 둘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하며,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가지고 AND연산하면 Network Address가 나오게 된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숫자로된 IP주소는 사람이 기억하기 힘든 형태여서, 이를 문자로 구성된 형태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
-도메인 네임과 IP주소간의 변환
Host 파일 이용 |
IP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도메인 DB파일인데, 리눅스의 경우 "/etc/hosts"에 호스트의 IP주소와 도메인 네임을 등록해 놓으면 자동적으로 IP 주소로 변환하여 통신하게 해준다. 그러나 인터넷이 급속하게 확장되는 환경에선 모든 호스트를 등록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
도메인 네임 서버 이용 |
통신하고자 하는 IP주소를 도메인 네임 서버로 요청하여 알아내서 통신한다. |
3) ARP: IP주소와 하드웨어 주소(MAC)를 서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특정 IP의 하드웨어 주소가 필요할 경우 해당 IP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고, 해당 IP를 사용하는 컴퓨터는 자신의 하드웨어 주소로 응답하는 과정으로 IP와 하드웨어 주소 간의 주소변환을 실시한다.
4)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P 레벨에서는 제대로 전달되었는지를 보장하지 않으므로 이런 실패가 발생했을 경우 대처 방안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IP를 통해 전달되며, 데이터그램이 전달되는데 있어서 방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을 경우 오류를 통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통 Ping프로그램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5) TCP: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며 연결 지향형처리를 통해 오류를 정정하게 된다. TCP 세션은 전이중(FullDuplex) 지점 간(Point-To-Point)통신 회선을 제공한다.
6) UDP: TCP와 달리 비연결성 방식의 비신뢰성 연결을 제공한다. 신뢰성은 떨어지지만 대신 속도는 빨라진다.
-고정된 크기의 비트 묶음을 기본 단위로 함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구분
'자격증 > 리눅스 마스터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2) 리눅스 시스템 관리 - 일반 운영 관리(1) | 사용자 관리 (0) | 2018.02.20 |
---|---|
Part1) 리눅스의 실무의 이해 - 네트워크의 이해(2) | 네트워크 설정 (0) | 2018.02.14 |
Part1) 리눅스의 실무의 이해 -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4) | 프로세스 (0) | 2018.02.08 |
Part1) 리눅스의 실무의 이해 -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3) | X 윈도우, 쉘(Shell) (0) | 2018.01.29 |
Part1) 리눅스의 실무의 이해 -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2) | 디렉터리 구조 및 파일 시스템 이해 (0) | 201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