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 자본 & 수익과 비용 & 결산
유동부채
①매입채무
외상매입금
재고자산 거래에 대해 외상으로 매입을 한 경우 외상매입금 계정을 사용 (원재료 외상 매입 시: 차변에 원재료 재고자산 증가 / 대변에 외상매입금 부채계정 증가) |
지급어음
일반적 상거래에서 어음을 발행하면 지급어음 계정을 사용 (원재료 매입 후 어음 발행 시: 차변에 원재료 재고자산 증가 / 대변에 지급어음 부채계정 증가) (어음 만기에 상환 시: 지급 어음은 차변으로 기록) |
비유동부채
①부채성 충당부채
퇴직급여충당부채
①퇴직급여 설정
퇴직급여(충당부채 설정액) = 퇴직급여 추계액 - (기초 퇴직급여충당부채 - 당기 퇴직금 지급액) |
②퇴직급여 지급
-매 결산일에 퇴직급여충당부채를 보충법을 설정하며, 퇴직일에 퇴직급여충당부채를 차감하는 형식으로 지급을 함 -퇴직급여 지급일에 퇴직급여충당부채가 부족할 경우 퇴직급여(비용)를 인식하며, 퇴직급여 지급과정에서 발생하는 퇴직소득세 등의 원천징수 금액은 예수금 계정을 사용하여 회계처리 |
판매보증 충당 부채
②사채
사채의 정의
주식회사가 장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계약에 따라 일정한 이자를 지급하며 일정한 시기에 원금을 상환할 것을 약속하고 차입한 채무 |
사채의 발행가액 = 만기에 지급할 원금의 현재가치 + 미래 이자지급액의 현재가치 |
사채발행 형태
액면발행 |
액면(표시)이자율 |
= |
시장(유효)이자율 |
할인발행 |
액면(표시)이자율 |
< |
시장(유효)이자율 |
할증발행 |
액면(표시)이자율 |
> |
시장(유효)이자율 |
①액면발행
-사채의 액면이자율과 시장이자율이 같은 경우, 사채를 액면가액과 같은 가액으로 발행 (사채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고 이자비용(영업외비용)계정 차변에 기입) |
②할인발행
-사채의 액면이자율이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경우, 사채를 액면가액보다 낮은 가액으로 발행 (사채액면가액과 발행가액과의 차액은 사채할인발행차금계정 차변에 기입)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상각되며 상각액은 매년 증가 → 만기에는 액면가액과 동일한 금액이 되도록 장부가액이 증가 |
③할증발행
-사채의 액면이자율이 시장이자율보다 높은 경우, 사채를 액면가액보다 높은 가액으로 발행 (사채액면가액과 발행가액과의 차액은 사채할증발행차금계정 대변에 기입) -사채할증발행차금 상각액은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상각되며 상각액은 매년 증가 → 만기에는 액면가액과 동일한 금액이 되도록 장부가액이 감소 |
사채발행비 처리
사채를 발행할 때 발생되는 인쇄비·수수료·광고비 등의 비용을 말하며, 사채발행가액에서 차감 |
-액면발행시: 사채할인발행차금 발생 -할인발행시: 사채할인발행차금에 가산 -할증발행시: 사채할증발행차금에 차감 |
사채발행비 |
발행가액 950원(보통예입) < 액면가액 1,000원 , 사채발행비 20원 현금지급 |
사채이자와 차금의 처리(할인발행)
①사채발행
EX) 액면가액이 1,000,000원인 사채를 유효이자율 12%, 액면이자율 10%, 만기 3년으로 발행하였고 이자는 매년 말 지급하며 사채발행비는 없다 |
3년 후 지급할 액면가액 1,000,000원의 현재가치(0.7118) |
711,800원 |
매년 말에 지급할 이자 100,000원의 현재가치(연금 2.4018) |
240,180원 |
합계 |
951,980원 |
②사채이자지급
유효이자율 상각표 | ||||
일자 |
유효이자(12%) |
액면이자(10%) |
상각액 |
장부가액 |
20X1.01.01. |
|
|
|
951,980 |
20X1.12.31. |
114,238 |
100,000 |
14,238 |
966,218 |
20X2.12.31. |
115,946 |
100,000 |
15,946 |
982,164 |
20X3.12.31. |
117,836 |
100,000 |
17,836 |
1,000,000 |
합계 |
348,020 |
300,000 |
48,020 |
|
·20X1.12.31.
·20X2.12.31.
·20X3.12.31.
③사채상환
-만기에 상환하는 경우 액면가액으로 상환 -조기에 상환을 하게 되는 경우 장부가액보다 많은 금액을 상환하면 사채상환손실 영업외비용 계정, 적은 금액을 상환하면 사채상환이익 영업외수익 계정 |
·만기상환
·조기상환(20X1.12.31. 시점에서 970,000원 현금상환 가정)
사채이자와 차금의 처리(할증발행)
①사채발행
EX) 액면가액이 1,000,000원인 사채를 유효이자율 10%, 액면이자율 12%, 만기 3년으로 발행하였고, 이자는 매년 말 지급하며 사채발행비는 없다 |
3년 후 지급할 액면가액 1,000,000원의 현재가치(0.7513) |
751,300원 |
매년 말에 지급할 이자 100,000원의 현재가치(연금 2.4869) |
298,428원 |
합계 |
1,049,728원 |
②사채이자지급
유효이자율 상각표 | ||||
일자 |
유효이자(10%) |
액면이자(12%) |
상각액 |
장부가액 |
20X1.01.01. |
|
|
|
1,049,728 |
20X1.12.31. |
104,973 |
120,000 |
15,027 |
1,034,701 |
20X2.12.31. |
103,470 |
120,000 |
16,530 |
1,018,171 |
20X3.12.31. |
101,829 |
120,000 |
18,171 |
1,000,000 |
합계 |
310,272 |
360,000 |
49,728 |
|
·20X1.12.31.
·20X2.12.31.
·20X3.12.31.
③사채상환
-만기에 상환하는 경우 액면가액으로 상환 -조기에 상환을 하게 되는 경우 장부가액보다 많은 금액을 상환하면 사채상환손실 영업외비용 계정, 적은 금액을 상환하면 사채상환이익 영업외수익 계정 |
·만기상환
·조기상환(20X1.12.31. 시점에서 970,000원 현금상환 가정)
자본
①자본의 기초
자본의 구성
구분 |
종류 | |
납입자본 |
자본금 |
보통주자본금, 우선주자본금 |
자본잉여금 |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자기주식처분이익 | |
자본조정 |
주식할인발행차금, 감자차손, 자기주식처분손실, 자기주식, 미교부주식배당금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매도가능증권평가 이익·손실, 해외산업환산 이익·손실, 현금흐름회피 파생상품환산 이익·손실 | |
이익잉여금 |
이익준비금, 기타법정적립금, 임의적립금, 미처분이익잉여금 |
②주식발행
주식발행(유상증자)
-주주로부터 대가를 수령하고 주식을 발행 -주식발행시 자본금이 증가 (자본금은 액면가액으로 인식) -발행형태: 액면발행, 할증발행, 할인발행 |
①주식발행 회계처리
·3월 1일 신주 1,000주(액면가액 @5,000원)을 현금 5,000,000원에 발행 [액면발행]
·3월 3일 신주 1,000주(액면가액 @5,000원)을 현금 6,000,000원에 발행 [할증발행]
·3월 5일 신주 1,000주(액면가액 @5,000원)을 현금 3,000,000원에 발행 [할인발행]
※주식할인발행차금을 인식하기 전 주식발행초과금이 있다면 우선적으로 상계 처리한 후 차액을 주식할인발행차금으로 인식
·3월 9일 신주 1,000주(액면가액 @5,000원)을 현금 7,000,000원에 발행, 발행하는 과정에서 신주발행비 100,000원을 차감하고 수령
※신주발행비에 대해서는 별도의 계정을 사용하지 않는다. 발행가액에서 차감하며 주식발행초과금이 감소하거나 주식할인발행차금이 증가함
주식발행초과금을 인식하기 전에 주식할인발행차금을 상계하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 인식
무상증자
-자본금의 증가가 있지만, 회사자산이 증가하지 않는 경우 -주주에 출자 없이 자본잉요금 요소를 이용해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거래 -자본잉여금의 주식발행초과금을 자본금으로 무상증자 할 수 있음 (주식발행 초과금은 감소하지만, 자본금의 증가로 자본요소들의 증감이 동일하게 발생하여 차본의 총계는 변함이 없음) |
유상감자
-감자: 자본금 총액을 줄이는 거래 -자본금의 감소로, 회사의 자산이 감소하는 경우 -유상감자는 대변에 지불하는 금전에 맞게 기록하는데, 이 과정에서 액면가액보다 적은 금액이 지급되는 경우 대변에 차액을 감자차익으로 자본잉여금 계정을 인식하고, 액면가액보다 많은 금액을 지불하는 경우 차변에 감자차손으로 자본조정 계정을 인식 |
무상감자
-결손금보전, 주식의 병합 등으로 자산의 유출없이 자본금이 감소하는 것 |
①정리
구분 |
내용 |
자산 |
자본금 |
잉여금 |
자본 |
유상증자 |
자본금의 증가로 회사의 자산이 증가하는 경우 |
증가 |
증가 |
|
증가 |
무상증자 |
자본금의 증가가 있지만 회사자산이 증가하지 않는 경우 |
|
증가 |
감소 |
유지 |
유상감자 |
자본금의 감소로 회사의 자산이 감소하는 경우 |
감소 |
감소 |
|
감소 |
무상감자 |
자본금이 감소하였짐나 회사의 자산이 감소하지 않은 경우 |
|
감소 |
증가 |
유지 |
②감자 회계처리
·3월 1일 액면가액 5,000원 1,000주에 대해 현금 4,000,000원 지불하고 매입소각
·3월 3일 액면가액 5,000원 1,000주에 대해 현금 7,000,000원 지불하고 매입소각
③자기주식 거래
자기주식 거래
①자기주식 취득
-회사가 발행한 주식을 재취득하는 것을 의미 -자기주식의 취득은 자본조정계정으로 처리하며 매입가액으로 기록 ※자기주식은 액면가액으로 기록하는 것이 아님 |
②자기주식 소각
-소각하는 경우에 자본금이 감소하고, 액면가액보다 적은금액을 지불한 경우에는 감소에 따른 차액을 감자차익 자본잉여금을 인식 -액면가액보다 큰 금액을 지불할 경우 차액을 감자차손 자본조정으로 인식 |
③자기주식 처분
-취득가액보다 많은 금액에 처분하면 차액을 자기주식처분이익 자본잉여금 계정으로 처리 -취득가액보다 적은 금액에 처분하면 차액을 자기주식처분손실 자본조정 계정으로 처리 |
④자기주식 회계처리
·3월 1일 자기주식 1,000주(액면가액 @5,000원)을 현금 6,000,000원에 매입
·3월 3일 위 자기주식 1,000주 중 400주를 소각
※자기주식의 가격은 취득가액 @6,000원 X 400주 = 2,400,000원
자본금은 액면가액 @5,000원 X 400주 = 2,000,000원을 기록하고, 자기주식고각에 대한 차이는 자본금의 감소에 차이로 감자차손으로 인식
·3월 5일 위 자기주식 300주를 현금 3,000,000원에 처분
·3월 9일 위 자기주식 300주를 현금 500,000원에 처분
※1,300,000원의 처분손실을 인식하기 전에 자기주식처분이익 1,200,000원을 상계하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 자기주식처분손실을 인식
④기타포괄손익누계액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구성
-포괄손익은 투자 및 주주에 대한 분배가 아닌 거래나 회계사건으로 인하여 일정 회계기간동안 발생한 순자산의 변동액을 말함 -손익계정에서는 제외되지만 기타포괄손익에 포함되는 항목은 매도가능증권 평가손익, 해외산업환산손익, 현금흐름 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 손익 등이 있음 |
⑤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 구성
-이익잉여금: 회사의 손익 거래를 통해서 발생한 잉여금을 의미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이익잉여금을 배당 및 각종 적립금으로 처분하는 과정을 나타냄 |
분류 |
내용 |
이익준비금 |
이익이 발생하면 상법상 강제로 회사에 적립해야 하는 법정적립금으로 그 한도는 최소 현금배당의 10% 이상 적립하며, 최대 자본금의 1/2(50%)까지 적립할 수 있음 (이외에도 기타 법정적립금이 있음) |
기타 법정적립금 |
재무구조개선적립금 |
임의적립금 |
사업확장적립금, 감채(기금)적립금, 배당평균적립금, 기업합리화적립금 |
미처분 이익잉여금 |
이익잉여금의 처분전 금액을 의미 (반대: 미처리 결손금) |
이익잉여금의 처분순서
(1)이익준비금의 적립액 (2)기타법정적립금 적립액 (3)이익잉여금처분에 의한 상각액 (4)주주배당금 (5)임의적립금 적립액 |
⑥배당
배당의 의의
회사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게 이익이 발생하면 이익을 나눠주는 것 |
배당주는 입장
①현금배당
-현금배당이 결정된 결의일에는 이월이익잉여금을 감소시키고, 미지급배당금 부채 계정으로 기록한 후 추후 현금배당이 지급되면 현금자산을 감소 시킴 |
·배당 결의일
·배당 지급일: 현금배당
②주식배당
-주식배당이 결정된 결의일에는 현금배당과 동일하게 이월이익잉여금이 감소함 -미교부주식배당금 계정으로 자본계정이 증가한 후, 주식배당이 실시되면 미교부주식배당금은 감소하며 자본금 계정이 증가함 -이익잉여금의 감소, 자본금의 증가로 자본전체의 증감은 없으며, 대신 주식의 수가 증가함 |
배당받는 입장
현금으로 배당을 수령하는 경우에는 배당금수익을 인식하는데, 그러나 주식으로 배당을 수령하는 경우에는 주식의 수와 액면가액에 변화가 있을 뿐, 전체 보유하는 유가증권의 가치에 변화가 오는 것이 아니므로 회계처리 하지 않음 |
수익과 비용
①수익
영업수익
-업종에 따라 제조업은 제품매출 계정을 주로 사용하며, 도·소매업은 상품매출 계정을 주로 사용함 -제품매출 계정과 상품매출 계정은 손익계산서에 반영이 되는 매출액으로 순매출액(=총매출액-매출환입-매출에누리-매출할인)을 기준으로 계산 |
영업외수익
-도·소매업은 상품매출액, 제조업은 제품매출액, 부동산임대업은 수입임대료 등 주된 수익을 제외한 나머지 수입을 모두 영업외수익으로 인식 |
①종류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임대료, 단기매매증권 평가이익, 단기매매증권 처분이익, 외환차익, 외화환산이익, 사채상환이익, 유형자산 처분이익, 투자자산 처분이익, 자산수증이익, 채무면제이익 |
②비용
제조원가와 매출원가
-제조원가: 원재료 관련 지출과 제품생산과 관련하여 공장, 생산,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제품의 원가를 구성하며 자산이 됨 -매출원가: 제조된 제품이 판매가 될 경우 해당 물건의 원가 |
①계산식
·상품매출원가 = (기초상품재고액 + 당기 순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 타계정대체 = 판매가능상품 - 기말상품재고액 - 타계정대체 ·제품매출원가 = (기초제품재고액 + 당기 제품 제조원가) - 기말제품재고액 - 타계정대체 = 판매가능재고액 -기말제품재고액 - 타계정대체 |
판매비와관리비
-본사, 사무실, 사무직, 영업부, 마케팅부 등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 -대부분 계정의 명칭은 제조원가와 동일하지만 발생장소에 따라 제조원가와 판매비와 관리비로 나뉨 |
①종류
급여, 퇴직급여, 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 여비교통비, 접대비, 통신비, 수도광열비, 세금과공과, 감가상각비, 임차료, 수선비, 보험료, 차량유지비, 경상연구개발비, 운반비, 도서인쇄비, 소모품비, 수수료비용, 광고선전비, 대손상각비 |
영업외비용
-주된 영업활동이 아닌 투자활동이나 재무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한 비용 |
①종류
이자비용, 외환차손, 외화환산손실, 기부금, 매출채권 처분손실, 단기매매증권 평가손실, 단기매매증권 처분손실, 재해손실, 유형자산 처분손실, 투자자산 처분손실, 재고자산 감모손실, 잡손실 |
결산
①핵심ERP 결산 작업
자동입력사항
기말재고액 파악 및 반영, 감가상각비 계상, 대손상각비, 퇴직급여충당부채 설정, 법인세 비용 추산 |
수동입력사항
유가증권평가(단기매매증권, 매도가능증권 등), 외화자산 및 부채의 평가, 가지급금 가수금 정리, 소모붐(비)정리, 현금과부족 정리, 선수수익 및 선급비용, 미수수익 및 미지급비용, 부가가치세 정리 |
②소모품미사용액 정리
소모품
-소모품: 구입 후 사용하면서 소모되는 품목을 의미하는 것으로 회사의 형광등, 컴퓨터 잉크, 사무용품, 청소도구를 예로 둘 수 있음 -회사가 구입하여 창고에 보관하고 있는 경우엔 자산으로 인식, 사용해버리면 비용으로 인식 |
①구입일 자산으로 인식하는 기업
·구입일
(차) 소모품(사용+미사용) (대) 현금 |
·결산일
(차) 소모품비(사용) (대) 소모품(사용) |
②구입일 비용으로 인식하는 기업
·구입일
(차) 소모품비(사용+미사용) (대) 현금 |
·결산일
(차) 소모품(미사용) (대) 소모품비(미사용) |
③손익계정 결산정리
수익의 이연(선수수익)
-발생주의에 의해 회사가 입금 받은 돈이 모두 손익계산서 수익 계정이 되는 것은 아님 -당기에 해당하는 수익만 손익계산서 수익 계정에 반영되고, 차기에 해당하는 수령부분은 선수수익 부채계정으로 재무상태표에 보고됨 -회사가 회계처리한 수익 계정 중에서 차기에 속하는 부분을 선수수익 계정으로 결산일에 정리하게 됨 |
①
·9월 - 1년분 이자를 모두 수령하고 수익(이자수익)으로 인식
(차) 현금 (대) 이자수익(9월 ~ 차기 8월) |
·12월 - 결산
(차) 이자수익(차기 1월 ~ 8월) (대) 선수수익(차기 1월 ~ 8월) |
I/S 이자수익(당기) |
B/S 선수수익(차기) |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②
·9월 - 1년분 이자를 모두 수령하고 부채(선수수익)으로 인식
(차) 현금 (대) 선수수익(9월 ~ 차기 8월) |
·12월 - 결산
(차) 선수수익(9월 ~ 12월) (대) 이자수익(9월 ~ 12월) |
I/S 이자수익(당기) |
B/S 선수수익(차기) |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비용의 이연(선급비용)
-발생주의에 의해 회사가 지출한 돈이 모두 손익계산서 비용 계정이 되는 것은 아님 -당기에 해당하는 비용만 손익계산서 비용 계정에 반영되고, 차기에 해당하는 지출부분은 선급비용 자산계정으로 재무상태표에 보고됨 -회사가 회계처리한 비용 계정 중에서 차기에 속하는 부분을 선급비용 계정으로 결산일에 정리하게 됨 |
①
·9월 - 1년분 보험료를 모두 지급하고 비용(보험료)으로 인식
(차) 보험료(9월 ~ 차기 8월) (대) 현금 |
·12월 - 결산
(차) 선급비용(차기 1월 ~ 8월) (대) 보험료(차기 1월 ~ 8월) |
I/S 보험료(당기) |
B/S 선급비용(차기) |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②
·9월 - 1년분 보험료를 모두 지급하고 자산(선급비용)으로 인식
(차) 선급비용(9월 ~ 차기 8월) (대) 현금 |
·12월 - 결산
(차) 보험료(9월 ~ 12월) (대) 선급비용(9월 ~ 12월) |
I/S 보험료(당기) |
B/S 선급비용(차기) |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수익의 예상(미수수익)
-발생주의에 의해서 수령해야 하는 수익을 약정 및 여러 상황때문에 아직 수령하지 못한 경우 결산일에 인식하는 계정 -EX) 대금을 대여해주고 1년 뒤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일괄 수령하기로 했을 경우, 당기에 수령하는 이자는 없지만 기간이 경과해서 발생한 금액은 손익계산서 수익 계정에 반영 |
①
·12월 - 결산 수령한 금액이 없어도 당기 수익이 발생
(차) 미수수익(4개월) (대) 이자수익(4개월) |
I/S 이자수익(당기) |
(차기) |
원금 + 이자 |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비용의 예상(미지급비용)
-발생주의에 의해서 지급해야 하는 비용을 약정 및 여러 상황때문에 아직 지급하지 못하고 있을 경우 결산일에 인식하는 계정 -EX) 대금을 차입하고 1년 뒤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일괄 지급하기로 했을 경우, 당기에 지급하는 이자는 없지만 기간이 경과해서 발생한 금액은 손익계산서 비용 계정에 반영 |
①
·12월 - 결산 수령한 금액이 없어도 당기 수익이 발생
(차) 이자비용(4개월) (대) 미지급비용(4개월) |
I/S 이자비용(당기) |
(차기) |
원금 + 이자 |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자격증 > ERP 회계&인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P] 회계 요약 | 세무 회계 - 법인세 (0) | 2019.01.11 |
---|---|
[ERP] 회계 요약 | 세무 회계 - 부가가치세 (0) | 2019.01.10 |
[ERP] 회계 요약 | 재무 회계 - 비유동자산 (0) | 2019.01.08 |
[ERP] 회계 요약 | 재무 회계 - 유동자산 (0) | 2019.01.07 |
[ERP] 회계 요약 | 재무 회계 - 재무회계의 기초 (0) | 2018.12.17 |